[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9. 빈 스코프
·
인프런 Spring 강의 정리/Spring 핵심 원리 - 기본편
📌 빈 스코프란? 스프링 빈은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함께 생성돼서 스프링 컨테이너가 종료될 때 까지 유지됨 스프링 빈이 기본적으로 싱글톤 스코프로 생성되기 때문 ✔ 스코프 : 빈이 존재할 수 있는 범위 ⚡ 스프링이 지원하는 다양한 스코프 싱글톤 : 기본 스코프,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종료까지 유지되는 가장 넓은 범위의 스코프 프로토타입 : 스프링 컨테이너는 프로토타입 빈의 생성과 의존관계 주입까지만 관여하고 더는 관리하지 않는 매우 짧은 범위의 스코프 웹 관련 스코프 request : 웹 요청이 들어오고 나갈때 까지 유지되는 스코프 session : 웹 세션이 생성되고 종료될 때까지 유지되는 스코프 application : 웹의 서블릿 컨텍스트와 같은 범위로 유지되는 스코프 ⚡ 빈 스코프 지정 방..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8. 빈 생명주기 콜백
·
인프런 Spring 강의 정리/Spring 핵심 원리 - 기본편
📌 빈 생명주기 콜백 시작 ✔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풀이나, 네트워크 소켓처럼 애플리케이션 시작 시점에 필요한 연결을 미리 해두고, 애플리케이션 종료 시점에 연결을 모두 종료하는 작업을 진행하려면, 객체의 초기화 종료 작업이 필요! 예시 외부 네트워크에 미리 연결하는 객체를 하나 생성한다고 가정.(실제로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것은 아니고 출력을 하도록 함) 이 NetworkClient는 애플리케이션 시작 시점에 connect()를 호출해서 연결을 맺어두어야 하고,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disConnect()를 호출해서 연결 끊어야 함 예제 코드 NetworkClient.java 🔶 test/.../hello.core/lifecycle/NetworkClient package hello.core.lifecyc..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7. 의존관계 자동 주입
·
인프런 Spring 강의 정리/Spring 핵심 원리 - 기본편
📌 다양한 의존 관계 주입 방법 🔶 의존관계 주입의 4가지 방법 생성자 주입 수정자 주입(setter 주입) 필드 주입 일반 메서드 주입 ⚡ 생성자 주입 이름 그대로 생성자를 통해서 의존관계를 주입 받는 방법 (지금까지 진행한 방법) 특징 생성자 호출 시점에 딱 1번만 호출되는 것이 보장됨 불변, 필수 의존관계에 사용 package hello.core.order; import hello.core.discount.DiscountPolicy; import hello.core.discount.FixDiscountPolicy; import hello.core.discount.RateDiscountPolicy; import hello.core.member.Member; import hello.core.member..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6. 컴포넌트 스캔
·
인프런 Spring 강의 정리/Spring 핵심 원리 - 기본편
📌 컴포넌트 스캔과 의존관계 자동 주입 시작하기 등록해야 할 스프링 빈이 수십, 수백개가 되면 일일이 등록하기도 귀찮고, 설정 정보도 커지고, 누락하는 문제도 발생함 스프링은 설정 정보가 없어도 자동으로 스프링 빈을 등록하는 컴포넌트 스캔 기능과 의존관계도 자동으로 주입하는 @Autowired 기능도 제공한다 AutoAppConfig.java 🔶 main/java/hello/core/AutoAppConfig package hello.core;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mponentSca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