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320x100
✅ MockMvc
- MVC에 관련된 Mock 가짜 객체
➡️ 스프링 MVC 애플리케이션의 테스트를 작성할 때 사용되는 프레임워크 - 웹 어플리케이션을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배포하지 않고, 테스트용 MVC 환경을 만들어서 요청 및 전송, 응답 기능을 제공해주는 객체
@SpringBootTest
class SpringBootTest {
@Autowired
MockMvc mockMvc; // 주입 X
}
🚨 @SpringBootTest만 선언하고, MockMvc를 @Autowired로 주입받으려고 하면, 주입이 되지 않아 오류가 발생
➡️ @SpringBootTest는 MockMvc를 빈으로 등록시키지 않기 때문
➡️ @AutoConfigureMockMvc 나 @WebMvcTest 사용
📌 @AutoConfigureMockMvc
✅ Controller를 테스트하기 위한 어노테이션
- 테스트에서 MockMvc를 자동으로 구성하는 어노테이션이다.
- @WebMvcTest없이도 MockMvc를 자동으로 설정
@SpringBootTest
@AutoConfigureMockMvc //MockMvc 생성 및 자동 구성
public class TestApiControllerTest {
@Autowired
protected MockMvc mockMvc;
}
📌 @WebMvcTest
- MockMvc를 자동으로 설정
- MVC에 관련된 스프링 빈들만 스캔하여 등록
- @Controller, @ControllerAdvice, @JsonComponent, Converter, GenericConverter, Filter, HandlerInterceptor, WebMvcConfigurer, WebMvcRegistrations, HandlerMethodArgumentResolver 빈들을 스캔하여 등록
- @Component와 @ConfigurationProperties는 스캔되지 않음
- @ConfigurationProperties빈들을 등록하려면 @EnableConfigurationProperties를 사용
- Web Layer(Security, Filter, Interceptor, request/response Handling, Controller) 관련 빈들만 등록하기 때문에, 컨트롤러는 주입이 정상적으로 되지만, @Component로 등록된 리포지토리와 서비스는 주입이 되지 않음
➡️ @MockBean을 사용하여 리포지토리와 서비스를 Mock 객체에 빈으로 등록해줘야 한다. - Mock 객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실제 환경에서는 다른 오류가 발생 가능
@WebMvcTest
class SpringBootTest {
@Autowired
MockMvc mockMvc; // 주입 O
}
💡 스프링 부트 레퍼런스 참고
Reference
728x90
반응형
'Spring >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Lombok (롬복)이란? (0) | 2024.02.04 |
---|---|
[Spring boot] H2 Console 접속 에러 (0) | 2024.01.27 |
[Spring boot] @RestController와 @Controller (0) | 2024.01.22 |
[spring boot] 스프링/스프링 부트란? (0) | 2024.01.20 |